webpack을 이용해 Vue.js 프로젝트를 만들다가 무심코 yes yes 해버리면 이게 같이 설치된다.

그럼 띄어쓰기가 4개 들어가야 하는데 6개가 들어갔다, 탭과 띄어쓰기가 섞여 있다 등등으로 뭐라 하는 굉장히.. 귀찮은..

코딩보다 띄어쓰기 고치기에 더 많은 시간을 들이게 되는 아주 귀찮은 일이 생긴다.



ESLint 때문인데, 해결 방법은 간단히 .eslintignore 파일을 열고 **/*를 추가하면 된다.

그럼 빌드 실패했을 때만 알려줌.

코딩 스타일을 이쁘게 해주는 건 좋긴 한데.. 난 그냥 내가 알아서 하는 걸로.


npm run dev를 사용해 바로바로 Vue.js 결과를 보다가 Spring Boot에서 Ajax로 정보를 불러와야 하는데 이 오류를 만났다.



No 'Access-Control-Allow-Origin' header is present on the requested resource.



CORS(Cross Origin Resource Sharing) 때문이라고 한다.


쉽게 Spring / Spring Boot에서는 원하는 곳에 @CrossOrigin 어노테이션을 추가하면 된다. 




cmd 실행


$ netstat -nao


쭈르륵 목록이 나온다.

그 중 말썽인 [로컬 주소 0.0.0.0:포트번호]를 찾아 오른쪽의 PID를 알아낸다.

상태가 LISTENING일 것이다.


$ taskkill /f /im [PID]


입력하면 포트 죽음.